부동산

전세 계약 핵심 리스트, 확인 사항, 계약 전 후, 잔금

banpolover 2025. 1. 16. 18:50

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세계약 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여러 사유로 인하여 전세 계약을 많이 하시는데요. 계약 시 철저히 따져보고 알아보지 않는다면 깡통 전세, 경매 후순위 등의 위험을 갖게 됩니다. 그럼 이제 꼼꼼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!

 

 

1. 계약 전    

 

* 전입세대 람 - 해당 주소지에 다른 세입자가 있는지 확인, 권리 침해 위험을 파악.

 

* 등기부 등복 확인 - 집주인 본인의 명의인지, 담보대출등의 재무 상태 확인.

 

* 채무 상황 확인 - 집주인의 체납 이력 및 부동산에 걸리 ㄴ근저당, 압류여부 파악 

 

2. 계약 체결시 - 당일 필수 알아야 할 사항

 

* 집주인 본인 확인 - 신분증 확인 통해 확인

 

*  계약 조건 꼼꼼히 재확인 -  입주일, 관리비, 기타 특약 등의 계약 조건 

 

* 서명 전 확인

 

* 계약금 지급 시 반드시 집주인 명의로 이체해야 함. 입금 기록 남겨두기.

 

* 잔금 지급전 등기부등본과 다른 세입자 여부를 다시 한번 최종 확인 합니다.

 

 

3. 계약 체결 후

 

* 확정 일자 받기(계약 날) - 계약서에 동주민센터니 관할 등기소에서 확정일자 받기.

 

*  전입 신고 - 이사 당일 동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전입신고하기(선순위 확인)

 

*  가능하다면 보증보험 가입(특히 빌라 계약 시)

 

* 열쇠 및 기타 출입 수단 인수 - 집 상태 최종 점검

 

4. 이사 후 

 

* 전입 신고 확인 -  전입 신고 완료 여부를 재확인합니다. 

 

* 전기, 수도 요금등 공공요금의 변경

 

 

Tips!   전세 사기 피해를 위해서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할 사항들

 

* 적정 전세가율 -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통해 적정 전세, 월세의 시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전세가율이 매매가에 비해 너무 크다면 조심해야 합니다!

 

* 아파트 외에 빌라나 다가구등의 적정 전세가를 확인하기 힘든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는 매매가격을 체크하여 전세가가 60% 이내에 들어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 

 

* 선순위 관리관계 확인 

 

다가구주택의 경우 중개업소에 요청해 선순위보증급액을 확인합니다. 다가구의 경우 여러 가구가 살고 있기에 만약 건물이 경매에 넘어간다면 타 가구에 밀려 후순위가 되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. 

 

 

* 임대인 세금 체납 여부 

 

만약 집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세금 체납이 있다면 세입자보다 무조건 우선순위이기에 세금 체납여부를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. 

 

* 공인 중개사 정상영업 확인

 

 

 

보통 전세 사기는 공인 중개사가 연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정상적으로 영업하는 공인 중개사인지, 주위 평판은 어떤지 꼭 확인하시고 계약하세요. 국가공간정보포텔에서 부동산중개업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